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4건
-
사람 중심 가로 조성을 위한 도시설계 연구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방법과 범위 6 4.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9 5. 연구 추진 과정 14 제2장 이론 검토와 ‘사람 중심 가로’ 개념 정립 1. 문헌 조사 개요 15 2. 국외 가로 논의의 흐름 16 1) 19세기 후반-20세기 초 : 다양한 가로계획 개념의 등장과 충돌 16 2) 20세기 초 : 통행을 위한 기관으로서 가로, 기능별로 분리된 가로 18 3) 1960-70년대..
-
SOC 시설의 복합적입체적 활용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목적 및 범위 73. 연구의 주요내용 및 연구방법 104.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3제2장 SOC시설의 복합적·입체적 활용의 개념과 범위 1. SOC시설의 복합적·입체적 활용에 대한 개념 2. 복합적·입체적 활용이 가능한 SOC시설의 범위 설정 3. 도로 및 철도의 복합적·입체적 활용 유형 4. 소결 제3장 국내 도로 및 철도시설의 복합적·입체적 활용현황 1. 도시계획..
-
가로주택 정비사업 적용을 위한 제도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4. 연구수행과정 제2장 가로주택정비사업 관련제도와 개념 1. 가로주택정비사업 관련 정책 및 제도 1) 가로주택정비사업 법제화 과정 및 주요내용 2) 소규모 점진적 주택정비 관련제도와 가로주택정비사업 3) 공동주택사업 방식으로서 가로주택..
-
수변공간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 및 설계방향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연구의 흐름 3. 선행연구 검토 1) 해외 수변공간관련 연구현황 2) 국내 수변공간관련 연구현황 3) 선행연구와 차별성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수변공간의 유형 1. 이론적 고찰 1) 물과 도시 2) 도시공간에서 ‘수변공간’의..
정기간행물 10건
-
공공시설 운영현황 공개제도의 한계와 향후 과제
* 이 글은 김준래 외. (2024). 지방자치단체 공공시설 운영현황 공개제도의 쟁점 진단 및 개선방안.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행정안전부는 지자체 공공시설에서 발생하는 일부 예산 낭비사례를 방지하고 효율적이고 투명한 시설 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 ‘지방자치단체 공공시설 운영현황 공개제도’를 전국적으로 시행 중이다. 공개제도는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립도서관, 체육관 등의..
-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이 글은 백선경 외. (2023). 재난 대응을 위한 임시주거시설 관리체계 개선방안.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재난 시 이재민 등이 일시적으로 대피하거나 거주하는 임시주거시설은 국내 약 1만 5,000여 개가 지정되어 있다. 「재해구호법」에 따라 학교나 마을회관 등의 시설을 사용할 수 있는데, 현재 지정시설 중 약 95% 이상은 공공건축물에 해당한다. 국내 임시주거시설의 문제점은 단지 수 부족이 ..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한옥의 기능 현황과 제언 - 온실가스 배출 저감 및 흡수 기능을 중심으로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고, 온실가스 흡수원을 확대하는 시책이 동시에 필요하며 한옥도 예외일 수 없다. 한옥은 과거에 기밀성이 좋지 않아 난방비가 많이 나오고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건축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다년간 추진된 한옥신기술개발 R&D 사업으로 보통의 건물보다 높은 수준의 기밀성능을 확보하였고, 온실가스 배출도 저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한옥은 온실가스 흡수원으..
-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위한 입지적정성 검토기준 활용방안
* 이 글은 여혜진 외. (2023).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계획수립지침 마련 연구: 농촌특화지구 입지적정성 검토방안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입지적정성 검토기준은 농촌특화지구의 합리적 지정을 통해 생활 및 생산 관련 토지이용을 재배치하여 농촌공간 재구조화 추진 및 농촌 난개발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입지관리 수단이다. 이는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기본계획의 농촌특화..
-
모빌리티 기술을 접목한 공공건축물 리뉴얼 전략
* 이 글은 남성우 외. (2024). 2023년 공공건축물 리뉴얼 지원 및 관리. 국토교통부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공공건축물의 노후화, 공간 부족과 새로운 시설 수요, 운영관리 어려움 등의 문제로 정부(국토교통부)는 철거 후 신축 또는 리모델링 등 리뉴얼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건축계획과 설계 모델을 지원해 주는 리뉴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 운영한 리뉴얼 사업에서는 노후 공공건축물을 대..
세미나·포럼 1건
auri 소식 5건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외 14건(2024.5.27.~31. 건축사신문)
기 사 명 : 【해석례로 읽는 건축법 2023】 주요내용 : 건축공간연구원 단행본 주요내용 소개 - 지붕틀 형태의 구조물에 천막을 설치한 것이 건축물인지 여부(충남 당진경찰서) - 철골조 지붕틀만 남은 것이 건축물인지 여부(경기도) - 수면 위에 설치된 구조물이 건축물인지 여부(충청남도) - 다중주택 거주자를 위한 공동취사시설을 갖춘 다중주택의 건립 가능 여부(서울중앙지방법원) - 하나의 필지에 단독주택 여러 동..
-
'군산시민문화회관 리모델링 사업 제안공모(지명공모)' 공고
「군산시민문화회관 리모델링 사업 제안공모(지명공모)」 공고 군산시민문화회관의 민관협력(Public-Private Partnership, PPP)형 도시재생 사업을 이끌어갈 운영자와 하나의 팀으로 긴밀하게 소통하여 리모델링하게 될 설계자를 선정하기 위한 제안공모(지명공모)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1. 공모명 : 군산시민문화회관 리모델링 사업 설계자 선정을 위한 제안공모(지명공모) 2. 사업개요 구분 내용 ..
-
전국 건축물 총 7,275,266동 / 39억 6천만㎡
전국 건축물 총 7,275,266동 / 39억 6천만㎡ - 전년 대비 동수 0.4% 증가, 연면적 2.6% 증가 - □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2020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31,794동(0.4%), 연면적은 서울 63빌딩 연면적(238,429㎡)의 약 423배 규모인 101,016천㎡(2.6%) 증가하여 7,275,266동이며 3,961,887천㎡라고 발표하였다. ㅇ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8,723동(50,066천㎡) 증가한 2,021,780동(1,790,298천㎡)..
-
"2020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개최안내
2020 http://competition.hanokdb.kr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한옥, 현대건축과 만나다. 한옥은 양옥과 대비되는 용어로 '한국의 정체성이 반영된 건축' 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용도도 살립집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 정체성(identity)은 크게 인간이 생활하면서 지니게되는 세계관인 사상, 미에대한 가치관인 미학, 건축의 구성방법인 구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은 또 매우 많은 요소들로 구성..
-
2014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공고
2014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공고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은 녹색건축 실현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생활 속에서 녹색건축에 대한 성과를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한 건축문화 행사입니다. 녹색건축 모범사례를 발굴․선정하여 녹색건축물의 조기정착을 유도하고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2014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응모작품을 아래와 같이 공모합니다. 1. 행사명..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