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3건
-
친환경 근린개발 평가인증체계의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Ⅱ)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선행연구현황 제2장 친환경 근린개발 인증항목별 평가기준 1. 평가항목의 도출 1) 친환경 근린개발 관련 제도 및 법령 검토 2) 국내외 친환경 평가인증체계 검토 3) 선행연구 및 개발사업 분석 2. 평가항목의 구성 3. 입지선정의 평가기준 1) 보존지역 배제 2) 보존관리 계획 3) 주변지역과의 연계 4. 근린공간설계..
-
친환경 근린개발 평가인증체계의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Ⅰ)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1) 연구의 주요 내용 2) 연구 수행 분담 4. 선행연구 현황 제2장 친환경 근린단위 평가인증체계의 개발 배경 1. 친환경 근린개발 인증제 도입 배경 1) 저탄소 녹색성장의 구체화 2) 글로벌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 심화 3) 친환경 인증제 논의의 확대 2. 친환경 개념 정의 1) 개요 2) 친환경 근린개발 관련 이론 ..
-
친환경 근린개발을 위한 도시설계 기법연구
제1장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주요 내용 4.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친환경 근린개발의 정책적이론적 배경 1. 개관 2. 친환경 근린개발의 이론적 배경 1) 친환경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 2) 친환경 관련 개념들의 관계 3) 근린개념의 설정 3. 친환경 근린개발의 정책적 필요성 1) 온실가스 감축의 필요성 2) 우리..
정기간행물 3건
-
친환경 근린개발을 위한 도시설계기법 연구
요약 1. 서론 2. 친환경 근린개발의 이론적정책적 배경 3. 국내외 사례연구 4. 온실가스 감축을 고려한 친환경 도시설계 요소 평가 5. 친환경 근린개발의 비용과 효과 6. 친환경 근린개발의 실현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7. 결론
-
친환경 근린개발 평가인증체계의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요약 1. 서론 2. 해외의 친환경 평가인증체계 1) LEED-ND 2) BREEAM-Communities 3) CASBEE-UD 3. 평가항목 도출 4. 활용방안
-
도심항공교통(UAM) 시대를 준비하는 건축과 도시공간
UAM 시대에는 도로, 주차장 등 자동차를 위해 사용되었던 공간의 기능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건축물 차원에서는 UAM 인프라가 융복합된 새로운 개념 정의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UAM 비행으로 발생 가능한 소음, 사생활 침해,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도시설계 단계에서 버티포트의 입지를 선정하고, 비행경로에 따른 건축물의 위치와 높이 등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UAM 시대가 온다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