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연구보고서 4건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정책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6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9 1) 연구의 범위 9 2) 연구방법 11 3) 용어정의 12 3. 기존 연구성과 분석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13 4. 연구수행체계 및 절차 18 제2장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및 정책 동향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및 특성 19 1)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개념 19 2) 로컬리즘..
-
근린재생 활성화를 위한 거점시설 운영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목적 7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1) 연구 범위 8 2) 연구 방법 9 3. 선행연구 검토 10 4. 연구추진절차 13 제2장 도시재생 거점시설 개념 및 선도지역 거점시설 현황 1. 도시재생 거점시설 개념 및 유형 16 1) 거점시설의 개념 16 2) 거점시설의 기능 및 용도 19 3) 거점시설 조성사업 재정지원 21 4) 거점시설 조성과정 23 2...
-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 재생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2. 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대상 및 범위 7 2) 연구방법 14 3. 선행연구검토 및 연구추진절차 17 1) 선행연구검토 및 차별성 17 2) 연구추진절차 20 제2장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형 주거지재생 개념 및 관련 정책 1. 주거지재생에서 지역사회 통합 돌봄 연계 의미 21 1) 재가복지서비스 기반의 사회서비스 전달체..
-
중소도시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자원기반의 통합적 공간관리 방안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2. 연구범위 및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지역자원의 개념과 범주 10 3) 연구방법 14 3.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16 4. 연구추진절차 19 제2장 중소도시의 지속가능한 통합적 공간관리 개념과 지역활성화 관련 정책의 한계 1. 중소도시 지속가능한 재생의 의미 21 1) 인구감소로 인한 중소도시의 소멸위기론..
정기간행물 1건
단행본 4건
-
AURI 정책제안 2022
안전신문고를 통해 살펴본 지역별 안전 실태 분석 및 시사점 001 ● 손동필 연구위원, 현태환 연구원, 박유나 연구원 포스트 코로나에 대응한 주거용 건축물 개방형 발코니 조성 방안 013 ● 조상규 선임연구위원, 김영현 연구위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김신성 연구원 바이든 시대, 건축도시 부문 그린뉴딜의 전망과 시사점 021 ● 지석환 연구원, 남성우 부연구위원, 이은석 부연구위원 제2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
-
AURI 정책제안 2021
제2차 경관정책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 001 ● 이상민 연구위원, 심경미 연구위원, 김다영 연구원, 송윤정 연구원, 이경재 연구원 지역 공공건축물의 종합적 자산관리계획 수립 방안 013 ● 염철호 선임연구위원, 이여경 부연구위원, 이경재 연구원 빅데이터를 통해 본 세종시 공유자전거 서비스 이용 특성과 개선 방안 025 ● 조상규 선임연구위원, 문보람 연구원, 김용국 부연구위원 공동주택 행위허가신고..
-
2020 AURI 정책제안
《 목차 》 제1차 건축서비스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추진 방안 1 염철호 연구위원, 서수정 선임연구위원, 이여경 부연구위원 녹색·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를 위한 금융 지원 방안 13 이은석 부연구위원 포용도시 구현을 위한 공원서비스 현황 및 개선 방안 25 김용국 부연구위원, 조상규 연구위원 기존 건축물 화재안전성능 보강을 위한 정책 추진 방안 33 유광흠 선임연구위원, 이종민 부연구..
-
당연하지 않은 도시재생
《목차》 여는글 더 나은 도시재생을 기대하며 박소현 01 도시재생법의 제정 의도와 실제 도시재생법 2013 되돌려보기 이영은, 서수정 도시재생, 계획의 역설 박소영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경제 이상과 현실의 괴리 장원봉 커뮤니티와 커뮤니케이션, 참여의 새로운 프레임 이영범 주민 참여로 본 도시재생사업의 현주소 김은희 02 사례로 본 도시재생의 현재와 가능성 김천시 현장..
세미나·포럼 2건
-
- 행사명 : 2022년 auri 마을재생포럼
- 주제 : “넥스트 도시재생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 기간 : 2022-01-27 ~ 2022-01-27
- 장소 : 남원시 빨간벽돌 2층 회의실 및 온라인 생중계(YouTube)
- 행사명 : 2022년 auri 마을재생 포럼 주 제 : "넥스트 도시재생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일 시 : 2022년 1월 27일(목), 14:00 ~ 17:20 장 소 : 남원시 빨간벽돌 2층 회의실 및 온라인 생중계(YouTube) 개회 14:00-14:05 (5′) ⋅개회 및 참석자 소개 정인아 |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 14:05-14:10 (5′) ⋅환영인사 이영범 | 건축공간연구원..
-
- 행사명 : AURI 마을재생포럼
- 주제 : 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
- 기간 : 2021-06-11 ~ 2021-06-11
- 장소 : 건축공간연구원 대회의실 및 온라인(유튜브·페이스북 라이브 생중계)
- ▮ 추진배경 및 목적 2017년 도시재생뉴딜 정책과 주거복지 로드맵이 발표된 이후 노후주거지 재생에 대한 국가재정지원이 확대되었으나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침 특히 초고령화, 인구감소로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방중소도시는 서울수도권에 적합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등의 수단을 적용하는데 한계 24 주거대책에 도입한 소규모주택관리지역, 주거혁신지구 등 새로..
auri 소식 5건
-
"민관협력으로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어촌, 사회혁신프로그램 성과와 확산" 2024 제2차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2024 제2차 AURI 건축도시포럼 개최 - 민관협력으로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어촌, 사회혁신프로그램 성과와 확산 -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은 12월 19일(목) 오후 1시부터 정부세종컨벤션센터 1층 중회의실에서‘어촌활력증진지원 시범사업의 사회혁신프로그램 성과와 확산’을 주제로 ‘2024 제2차 AURI 건축도시포럼’을 개최한다. ◦ 건축공간연구원은 매년 ‘AURI 건축도시포럼’을..
-
“로컬리즘, 중소도시 재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로컬리즘, 중소도시 재생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AURI 마을재생포럼‘넥스트 도시재생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개최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이영범, 이하 auri)은 “넥스트 도시재생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을 주제로 1월 27일(목) AURI 마을재생포럼을 개최한다. ◦ auri 마을재생센터는 지방 중소도시에서 추진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의 지역활성화 효과가 미..
-
2022년 auri 마을재생포럼 개최
행사명 : 2022년 auri 마을재생 포럼 주 제 : "넥스트 도시재생 : 로컬리즘 기반의 중소도시 재생" 일 시 : 2022년 1월 27일(목), 14:00 ~ 17:20 장 소 : 남원시 빨간벽돌 2층 회의실 및 온라인 생중계(YouTube) 개회 14:00-14:05 (5′) ⋅개회 및 참석자 소개 정인아 |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 14:05-14:10 (5′) ⋅환영인사..
-
AURI 마을재생포럼‘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개최
"인구가 줄어드는 지방도시, 살기 좋은 주거지 모습은?”AURI 마을재생포럼‘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 재생’개최 □ 건축공간연구원(원장 박소현, 이하 auri)은 “인구감소시대 지방도시의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을 주제로 6월 11일(금) AURI 마을재생포럼을 개최한다. ◦ auri 마을재생센터는 초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소멸 위기에 직면한 지방도시에서 주민이 체감할 수 있..
-
'도시재생 토크콘서트' 개최 안내
초대합니다. 건축도시공간 연구소에서 우리사회가 당연하게 추진해왔던 도새재생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도시재생 토크콘서트'를 엽니다. 소멸도시 위기에 직면한 지방중소도시에 지금의 도시재생 정책이 과연 도시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토대로, 도시재생법 제정 당시의 의도를 돌아보고, 오늘의 시점에서 도시재생을 다시 고찰해보고자 합니다. 당연하지..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