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3건
-
데이터 기반의 건축정책 추진을 위한 건축물 연령 지표의 개발과 활용
* 이 글은 송유미 외. (2024). 건축행정 데이터를 활용한 건축물 연령 지표 개발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중 일부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함 건축물은 국민 안전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건축물 경과연수는 건축물 안전과 지역의 노후를 측정하는 주요한 지표로, 지역의 건축물 노후 현황 정보는 정책 및 사업 추진을 위한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건축물의 경과연수를 통한 안전과 노후에 대한 해석은 현재..
-
건축물 안전관리 실태와 정책 시사점
요약 ° 일상 생활공간에서 건축물 붕괴 및 화재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큰 상황 ° 정부는 건축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련 규제를 강화해 왔으나 사고가 발생하는 건축물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대응은 미흡 ° 특히 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1,000㎡ 내외의 다중이용 생활서비스시설의 안전관리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해당 건축물에 대한 안전관리 ..
-
재난에 안전한 공간환경
잇따른 지진, 기후변화로 빈번해지는 수해, 잊을 만하면 뉴스를 통해 전해지는 화재와 건축물 붕괴 사고 소식 등으로 국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과연 우리의 삶터인 건축도시공간이 충분히 안전하게 조성, 관리되고 있는지 다시 묻게 만든다. '안전한 생활공간'은 우리 삶의 질을 논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할 조건이자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앞으로 어떤 제도적인 개선과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한지 함께..
AURIC 연구문헌
해당 정보는 www.auric.or.kr으로 연결됩니다.